티스토리 뷰

반응형

일반의-전문의차이점

안녕하세요? 행복마을 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병원 과 의원의 차이 및 일반의 와 전문의 구별 방법?" 에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인생을 살아오면서 한번도 아파본적이 없는 사람이 있을까요? 가벼운 감기라도 한번씩은 걸리는데요. 때론 운동을 하다가 넘어지거나 두통이 있다거나 할때 약국에서 약을 먹고 낳기도 합니다. 그러나 약으로 안될정도로 심각하게 아플때는 병원을 찾게됩니다. 그래서 거리에 나가보면 어떤곳은 병원이라고 적혀있고 어떤곳은 의원이라고 적혀있습니다. 그 둘의 차이가 뭔지도 잘 모르고 어떤곳이 치료 받으려고하는 진료과목의 전문의 인지 알기가 어려우셨을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병원 과 의원의 차이 그리고 일반의 와 전문의 구별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이 차이를 잘아시고 방문하셔서 진찰을 받으시면 더욱 낳겠죠. 

 

병원 과 의원의 차이?

기본적으로 의료 행위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합니다. 이름을 구분하는 데에는 병상 규모의 차이입니다. 의원이라는 명칭은 의사, 치과의사,한의사 등이 30병상 미만의 규모로 운영하는 의료기간을 뜻합니다. 병원은 병상 규모가 30병상 이상 100 병상 미만의 규모로 운영하는 의료기관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종합병원은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인 규모의 의료기간으로 7개의 진료 과목을 필수로 운영해야 하면 300병상을 초과하면 9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운영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필수로 운영해야 하는 과목이 지정되어 있는데 일반인이 이런 것까지 알필요는 없으시고 대개 30병상 미만의 작은 병원은 의원이라고 부르고 그 이상이면 병원이라고 한다는 차이만 아시면 될거같습니다. 동네에서 자주 가는 소아과나 내과 같은 곳의 간판을 한번 자세히 살펴보시면 000의원이라고 적혀있는걸 보실수가 있습니다.

 

 

일반의 와 전문의 차이?

전문의가 진료하는 병원을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전문의와 일반의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두셔야 합니다.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을하면 의사면허증을 발급받는데 이 단계를 일반의라고 부릅니다. 이 단계에서도 일반의로써 병원 개원은 가능은 합니다. 그러나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이후 인턴,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서 전문의를 취득한 이후에 개원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의대 국가고시 면허 취득후 일반의로서 전공과목이 없는 상태로 각 과를 돌면서 흔히 인턴이라고 하는 수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전공과목을 선택하는 기간을 갖게 됩니다. 다음은 전공의 단계로 인턴과정을 마치고 하나의 과를 지원하여 해당 과목의 진료와 수련을 하면서 의료기술을 습득하는데 4년차 말에 전문의 시험을 치러서 합격하면 전문의 자격을 취득합니다. 이 이후에는 전문의 호칭을 걸고 개원이 가능한데 이후 교수가 되는것을 희망하는 사람은 전임의라고 부르는 펠로우 기간을 더 추가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일반의 와 전문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이런 의사들이 개원한 동네 병원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봐애겠습니다.

 

 

일반의 와 전문의 병원 구분하는 방법

이제 지역에서 일반의 와 전문의 병원 구분 및 찾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쉬운방법은 간판을 살펴보는 겁니다.

 

-전문의 간판 표기법

의료법상 전문의만이 자신의 병원 간판에 000의원 또는 000병원 이라고 표기할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000피부과 의원 혹은 000피부과 병원 등으로 표기된 병원은 해당 병원의 의사가 피부과 전문의라느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의 간판 표기법

일반의가 진료하는 의료기관의 간판은 000벙원 혹은 000의원 이라고 표기한후 그뒤에 진료과목 이라는 표기를 반드시 해야합니다. 예를 들면 000의원 진료과목 피부과 로 표기했다면 일반의가 진료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런식으로 설명을 드리면 일반의 병원이 의사 국가고시 면허만 취득하고서 개원한 것으로 생각하시기도 하지만 그런것은 아닙니다. 전문의는 취득했지만 전공 과 다른 과목으로 개원하신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예를들면 마취과를 수료한 전문의가 개원할때 성형외과나 피부과 등을 개원하는 경우처럼 자신이 전공하지 않은 다른과를 개원하여 운영하는것입니다. 이것은 피부과 와 성혀외과가 흔히 돈이 되는 과이기 때문에 비인기과 출신 의사들이 수익성이 좋은 과목으로 개원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가지 흔한 예로 000비뇨기과 진료과목 피부과를 들수가 있습니다. 비뇨기과 전문의 분들이 해당과만을 운영하는 것보다 병원 수익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피부과 진료를 같이 보시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아무래도 전문과가 아닌 피부질환에 대한 진료 만족도는 다소 떨어질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꼭 그러한 것만은 아닙니다. 사실 이런 경우에는 다소 국내병원 상황이 애매해진 데에서 원인을 찾아볼수 있습니다. 피부과의 경우 아토피라든가 무좀 같은 피부질환의 치료보다는 수익성이 좋은 에스테틱 피부관리 위주로 운영을 하는것이 사실입니다. 각종 피부 레이저 시술과 리프팅 등 주로 미용에 관련된 시술을 주로하는 병원이 많은데 이런곳의 경우 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고가의 장비를 운영해야 하므로 아무래도 돈이 되는 환자 위주로 받을수 밖에없습니다. 그러다  보니깐 오히려 원래 피부과를 찾아야 하는 피부질환 환자들이 오히려 병원에서 눈치를 보게되는 경우도 생기는 겁니다. 이건 어느 정도는 어쩔수 없는 부분이라고 여겨지기는 하지만 한편으로 씁쓸한 현실이라고 생각이 돕니다. 물론 모든 병원이 그렇다는 것은 아니고 전반적인 상황을 말한 것이니깐 오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마무리

오늘은 병원과 의원의 차이 및 일반의 와 전문의 구별 방법 에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건 돈을 지불하고 진료를 받는 환자들이 당연히 알아야할 권리라고 생각을 했기에 포스팅을 해봤습니다. 이제부터 아프시면 본인이 원하시는 곳에서 진료를 받으셔서 보다 좋은 의료 서비스를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래도 이왕이면 평생 안아프고 건강하게 살면 좋겠죠. 희망사항이지 만요. 이상으로 "병원 과 의원의 차이 및 일반의 와 전문의 구별 방법?" 에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오늘도 편안한 하루보내시길 바랍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

 

 

"구독 과 공감은 필자를 춤추게 합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